도봉산
2016.10.30 (일) 맑음
오늘은 도봉산을 등산하였다. 망월사로 올라가는 길을 택하여 도봉산을 올랐다. 일요일이라서 등산객들이 많았다. 청명하고 약간 쌀쌀한 날씨하였지만 산에 오르기가 좋았다. 며칠 전만 해도 산에 오르면 의레 땀으로 목욕을 하다싶이 하였는데 하루 이틀 사이에 이렇게 기온이 달라지고 있어 계절도 싶게 바뀌어지고 세상도 많이 변해가는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산 입구에 들어서자 계곡의 신선하고 향긋한 공기가 폐로 깊숙히 스며들어 정신이 버쩍 들었다. 계곡의 흐르는 물도 가을 닮아 맑고 신선(新鮮)하게 느껴진다. 흐르는 물 위에 낙엽들이 두등실 떠 내려가는 정경에 가을이 무르익었음 실감할 수 있다. 가파른 포장길이 끝나는 지점부터 범상찮은 산의 모습들, 특히 산 위에 커다란 바위들이 포개져 있는 기묘한 형상들이 산을 오르는 발길을 더디게 하였다. 젊어서부터 지끔까지 그 숫자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자주 이 도봉산을 찾아왔었지만 올 때마다 감탄하였고, 또 감탄하게 된다.
산악인 엄홍길 씨가 생장했다는 집터를 지나 언덕진 곳을 올라서니 사방에 아름답게 물든 단풍이 시선을 끌었다. 그러나 금년은 단풍이 좀 일찍 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망월사 부근에서 보이는 단풍들도 그 생명줄이 다 되어가고 있었으며, 포대능선에 오르니 모든 낙엽수들은 낙엽이 져 앙상한 나뭇가지들 사이로 파란 하늘이 훤하게 들어났다. 그러나 포내 능선에 오르기 전까지는 나뭇가지에 몇 개씩이나마 붙어 있는 퇴색해가는 나뭇잎들일 망정 만추의 정취를 느끼게 하였다. 도봉산은 입구를 빼빽하게 매워 올라오는 등산객들을 넉넉한 품으로 품어 않는다. 입구에서 조금 더 올라가면 작은 계곡으로 나눠지고, 그 나뉘어진 계곡들을 따라 발길이 서로 갈라진다.
우리는 바로 망월사로 향하였다. 망월사에 도착하니 막 12시가 되었었다. 우리는 절에서 등산객들을 대상으로 보시하는 음식으로 점심식사를 에웠다. 망월사는 도봉산 중턱에 위치하여 멀리서 바라보면 수려한 산과 어울려 아름다운 풍치를 이룬다. 우리는 망월사 경내를 돌아보고,절 뒷길을 따라 포대능선에 올랐다. 좀더 일찍 이곳을 찾았더라면 이 포대 능선을 따라 줄을 잇는 단풍의 장대한 모습도 볼 수 있었을 텐데...
멀리 사패산을 뒤로 하고 포대능선을 따라서 자운봉쪽으로 향하여 갔다. 능선의 음지 곳곳에는 한낮이 되었는데도 서릿발이 땅을 들고 일어나 줄지어 서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낙엽수들은 하나같이 나목으로 변했고 움푹진 곳은 낙엽들이 쌓여 있었다. 포대능선을 따라가면서 오랜 세월의 풍상을 이겨내고 굿굿이 서있는 수목들과 포개지거나, 기대면서 받쳐주거나, 서로서로 끌어안고 있는 기기묘묘한 모양의 암석들이 한데 어우러져 산봉우리를 이루고 있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신비에 잠기게 된다.
힘들게 참호가 있는 봉우리를 올라섰다. 거기에는 장엄한 도봉산의 주봉들이 우리의 앞에 우뚝 나타났다. 우리는 자운봉, 만장봉과 신선봉이 어우러진 도봉산의 웅장한 모습에 압도되었다. 우리는 참호 위에 새롭게 설치해 놓은 전망대에 올라 도봉산을 바라보면서 그 장엄하고 아름다운 모습에 감탄도 하고, 저 아래로 내려다보이는 서울 북부지역과 의정부 지역 쪽으로, 또 멀리 북쪽을 바라보면서 지형을 확인하느라고 갑론을박하였다.
오늘의 하산길은 자운봉 뒤쪽 천축사로 내려 가는 길을 택하지 않고, 참호(지금은 참호가 있는 자리에 전망대를 설치해 놓았다.)에서 바로 가파른 계단을 따라 도봉계곡으로 내려갔다.
우리는 하산길에 인절미 바위도 보고, 조광조를 기리는 김수증이 쓴 글 "高山仰止"라는 바위에 새긴 글을 보았다. 인절미 바위를 보면서 사람이 돌에 인절미를 새겨놓은 것처럼 정교함에 자연의 오묘함을 느낄 수 있었다. 또 김수증의 "高山仰止"의 뜻과 역사적 배경을 함께 생각할 수 있게 해주어 오늘의 산행한 보람이 더했다. 오늘 산행은 그렇게 힘들거나 지루하지 않았다. 언제나 등산이 이처럼 즐거운 마음으로 시종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등산이 끝난 후 마음과 몸이 한결 가벼진 것 같아 기분이 좋았다.
망월사로 가는 길 <굿당>에 조금 올라가서----- 전면 산 중턱에 솟아난 바위들
망월사로 가는 길 <굿당>에 조금 올라가서----- 전면 산 중턱에 솟아난 바위들
망월사 올라가는 입고 우측으로 흐르는 계곡 물과 작은 폭포 --- 폭포 아래 파목은 일으키는 못의 파문
산악인 엄홍길 씨가 살던 집터
이 일대는엄홍길 씨네 처럼 아주 오래 전부터 계곡 들어와 집을 짓고 삶의 터전으로 살았던 사람들도 있었으나, 대부분은 1950년대 말부터 1980년대까지 계곡을 따라 상당히 깊은 산속까지 올라가서 물가에 집을 짓어놓고 행락객들을 상대로 음식장사를 하였는데 88'올림픽을 전후하여 불법으로 계곡을 점유한 음식점들을 전부 정비하여 지금은 그 흔적조차 사라져가고 있지만 아직도 자세히 살펴보면 그 때 남긴 좋지 못한 흔적들이 많이 남아 있다.
사람들의 눈길을 끄는 눈섭바위
7부 능선에는 아직 단풍이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냈다. 그러나 그 아름다운 빛깔도 퇴색해 가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망월사 경내에서 주로 등산객을 대상으로 점심식사를 보시하는 광경
망월사 경내에서
망월사 경내에서
망월사 경내에서
망월사 경내에서
망월사 경내에서
망월사 경내에서
망월사에서 바라본 도봉산
망월사 경내에서
ㅁ망월사에서 바라본 주변 경관
망월사 경내에서
만월사에서 바라본 포대능선
망월사 경내에서
포대능선에서
포대능선에서
능선에 있는 나무들은 이렇게 모두 나목이 되었다.
포대능선에서
이 어린이들이 자기의 힘으로 이 높은 도봉산에 올라왔다. 너무 이뻐보였다.
포대능선에서
포대능선에서
자운봉과 만장봉
서울 북부지역을 바라보면
ㅊ참호 위 전망대에서
전망대에서사패산을 바라보면서
하산길
하산길
곱게 물든 단풍
계단을 다 내려오니 이렇게 아름답게 물든 탄풍이 맞아주었다 그 기념으로
하산길
인절미 바위
바위글씨 고산앙지(高山 仰止) <도봉산 입구에서 조금 올라가면 왼편 "계곡 건너로 보이는 바우에 새겨진 글씨는 1700년(숙종 26) 7월에 곡운 김수증(金壽增, 1624~1701)이 쓴 글씨입니다. 고산앙지(高山仰止)란 시경(詩經)에 나오는 것으로 '높은산처럼 우러러 사모한.'라는 뜻입니다. 김수증이 정암 조광조의 학덕을 우러러 사모한다는 의미에서 새겼던 것으로 측됩니다."(출처 : 안내 입간판)>